분류 전체보기
-
딥러닝 (Deep learning)생각 2024. 12. 24. 15:25
딥러닝. 기계학습의 종류 중 하나인 인공신경망 방법론 중 하나이다.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이자 앞으로 더더욱 기대가 되는 기술이기도 하다. 과거에는 연산 장치들의 성능이 낮고 메모리 용량이 적어 이론상으로만 존재하고 구현이 불가능한 기술이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 반도체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자연스레 더욱 복잡한 모델을 설계하고 학습할 수 있는 단계까지 이르게 되었다. 딥러닝의 핵심 개념은 다층 신경망을 사용하는 것이다. 여러 층을 가진 신경망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서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복잡한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다층 신경망 : 여러 층의 뉴런이 정보를 처리하여 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을 하는 원리는 이러하다. 어떤 사건이 일어났을 때 그에 대한 반응으로 신경이..
-
패닉 바잉(Panic Bying)생각 2024. 12. 23. 12:02
패닉 바잉은 소비자가 재난 또는 재난으로 인식된 상황을 예상하여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제품을 구매하거나, 가격이 크게 오르기 전, 희소성에 대한 품귀 현상을 예상하여 비정상적인 구매 형태를 말한다. 대표적으로는 재난이 예상될 때 이런 현상이 많이 발생하기도 한다. 자연재해나 전쟁, 최근 발생한 계엄령 등 정상적인 경제 활동에 어려움이 예상되면 사람들은 생필품 등을 쓸어담아버리고 그것을 본 다른 사람들은 초조함에 덩달아 구매를 하기도 한다. 몇년 전 코로나가 창궐하던 시기에는 마스크가 그랬다. 그 당시 나 또한 마스크를 구하기 위해 온갖 편의점을 돌아다니고 약국, 마트를 다니며 마스크를 구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고의 선물은 마스크였고 최고의 투자는 마스크 생산 회사에 주식을 사들이는 것이었다. 몇년 전만..
-
욕구(Need)생각 2024. 12. 22. 21:34
욕구. 어떠한 것을 얻거나 하고자 바라는 것을 말한다. 나에게 부족, 또는 결핍된 것을 무의식적으로 채워서 해결하려는 욕구를 말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탐하고 더 많은 것을 요구하게 된다면 욕망이 된다. 사람들은 다양한 욕구를 가지고 살아간다. 욕구가 있기에 사람이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한다. 욕구는 원동력이며 생산적이고 또한 역설적으로 파괴적인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감정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원동력이 되어 살 것이나, 반대로 욕구에 사로 잡혀 욕망이 되고 나쁜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매우 위험하다. 한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우는 인간의 욕구를 6계층으로 나누어 분석하기도 했다. 1. 생리적 욕구 : 산소, 음식, 수면, 의복, 주거 등 삶 그 자체를 유지하기 위..
-
오감(Five Senses)생각 2024. 12. 22. 21:14
감각.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인간의 의식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감각 기관이 다양한 외부에서의 자극을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바꾼 뒤 신경을 통해 뇌까지 전달이 왼다. 이렇게 전달된 자극이 결국에는 뇌까지 전달되어 인간의 의식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그 중 대표적으로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등의 5가지의 감각을 흔히 예로 든다. 시각은 눈, 청각은 귀, 후각은 코, 촉각은 피부, 미각은 혀를 통해 외부의 자극을 감각으로 받아들인다. 시각은 빛을 통해 주위 환경을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능력을 말한다. 빛은 사물에 반사되거나 직접 방출되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우리에게 전달해 준다. 특히 눈을 통해서만 이러한 시각을 느낄 수 있다. 청각은 귀를 통해 소리를 감지해내는 감각을 ..
-
게임 이론(Game Theory)생각 2024. 12. 20. 14:16
게임 이론(game theory)은 상호 의존적이고 이성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수학적 이론이다. 개인 또는 기업이 어떠한 행위를 했을 때, 그 결과가 게임에서와 같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참가자의 행동에 의해서도 결정되는 상황에서, 자신의 최대 이익에 부합하는 행동을 추구한다는 수학적 이론을 연구한다. 최근 유퀴즈를 통해 게임이론에 대해 알게되었다. 사람이 살아가는 과정에서 모든 곳에 게임 이론이 적용된다는 것이다. 가벼운 가위바위보 게임에서부터 연애, 정치를 넘어 자신도 모르게 이 이론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단순히 이론 이름만 들었을 때에는 우리가 흔히 주변에서 즐겨하는 오락 게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둘 이상의 참가자와 전략, 보상 등은 우리가 살아가며 다른 누군가와의 경쟁이나 협의 과정에서 ..
-
도파민(Dopamine)생각 2024. 12. 19. 14:46
도파민- 중추 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 전달 물질의 일종으로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전구체이다. 이제는 우리의 삶에 깊숙이 파고들어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이 '도파민'은 많은 영향을 끼친다. 가까운 예시로 우리가 즐겨보는 SNS나 유튜브, 쇼츠 등 우리의 소소한 킬링타임을 자극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도파민이다. 도파민은 우리의 몸 속에 분비되는 많은 물질들 중 하나이고 분비되면 성취감과 보상감, 쾌락의 감정을 느끼며 뇌를 각성, 흥분시켜 살아갈 의욕과 흥미를 느끼게 한다. 긍정적으로는 우리의 삶에 자극을 주게되어 삶의 활력소가 되기도 하지만 너무나도 과하게 된다면 그것에 중독되어 ADHD, 조현병, 치매, 우울장애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모든 것은 적당하여야 좋지만 우리는 이 도파민에 찌들어..
-
감정 오염(Kick the Cat)과 감정 관리생각 2024. 12. 17. 16:52
최근 쿠팡플레이에 방영한 가족계획의 한 씬에서는 감정 오염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감정 오염이란 말 알아? 이, 무너진 자기 감정을 약한 사람한테 풀고 당한 사람은 또 자기보다 더 약한 사람한테 풀고 그렇게 나쁜 감정들이 전염병처럼 오염돼 가다가 결국 맨 밑바닥 가장 약한 존재인 길고양이까지 걷어차이는 거지. 그것은 일차원적으로 한 사람의 심정이나 기분이 다른 사람에게 전이되거나 영향을 끼치는 현상을 말한다. 인생을 살아가며 인간관계는 끊임없이 일어나는 것이기에 이러한 현상은 언제, 어디서든 일어난다. 특히 상하관계가 명확한 곳에서 이러한 현상은 쉽게 발생한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아래 사람에게 폭력적인 방법으로 해소하고 그 영향을 받은 사람은 또 다른 사람에게 그 감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