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욕구(Need)
    생각 2024. 12. 22. 21:34
    반응형

     

    욕구. 어떠한 것을 얻거나 하고자 바라는 것을 말한다. 나에게 부족, 또는 결핍된 것을 무의식적으로 채워서 해결하려는 욕구를 말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탐하고 더 많은 것을 요구하게 된다면 욕망이 된다.

     

    사람들은 다양한 욕구를 가지고 살아간다. 욕구가 있기에 사람이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한다. 욕구는 원동력이며 생산적이고 또한 역설적으로 파괴적인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감정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원동력이 되어 살 것이나, 반대로 욕구에 사로 잡혀 욕망이 되고 나쁜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매우 위험하다.

     

    한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우는 인간의 욕구를 6계층으로 나누어 분석하기도 했다. 

     

    1. 생리적 욕구 : 산소, 음식, 수면, 의복, 주거 등 삶 그 자체를 유지하기 위한 욕구

    2. 안전 욕구 : 신체의 위험과 생리적 욕구의 박탈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욕구

    3. 소속감 및 애정 욕구 :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사랑하고 사랑받고 싶은 욕구

    4. 존중 욕구 : 적 외적으로 인정을 받으면서 어떤 지위를 확보하기를 원하는 욕구

    5. 자아실현 욕구 : 자기 발전을 위하여 잠재력을 극대화, 자기의 완성을 바라는 욕구

    6. 자아 초월 욕구 : 자기 자신을 초월하여 다른 것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이타적인 욕구

     

    또한 존중 욕구와 자아실현 욕구 사이에 심미적 욕구, 인지적 욕구를 추가하여 8단계로 최근에는 나누기도 한다. 

     

    - 인지적 욕구: 지식과 기술,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과 이해의 욕구
    - 심미적 욕구: 질서와 안정을 바라며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구

     

    결국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은 늘 무엇인가를 필요로 하는 결핍의 존재이고 이 욕구에 따라 행동한다는 것을 말한다. 처음의 욕구가 충족되면 그 다음의 욕구를 갈망하게 되고 결국은 자아 초월 욕구까지 바라게 된다. 이러한 욕구의 단계가 모든 사람이 이렇게 나누어져 있다는 것은 아니다. 단지 참고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심리학자 클레이턴 앨더퍼가 인간의 욕구에 대해 'ERG 이론'으로 욕구를 분석하기도 하였다.

     

    생존 욕구(Existence Needs)

    관계 욕구(Relatedness Needs)
    성장 욕구(Growth Needs)

     

    두 심리학자가 분석한 욕구에는 모두 공통적으로 생존, 관계가 기본으로 깔려 있다. 그만큼 사람에게는 내 생존이 먼저며 늘 사람과의 관계가 기본적인 욕구가 아닐까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생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더 높은 연봉의 직장, 집, 차를 원하게 되는 것이고 그러한 것을 바탕으로 인간관계에서 유리한 입장에 서고자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 사람에게 생존 능력이 강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면 이성은 반드시 매력을 느끼기 마련이다. 그것이 사람이 타고난 욕구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학교 다닐 때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도 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하는 것이며, 남보다 나은 직장을 바라는 것도 생존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돈보다는 다른 것이 우선되어 그것이 본인의 욕구를 가장 충족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반응형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러닝 (Deep learning)  (0) 2024.12.24
    패닉 바잉(Panic Bying)  (2) 2024.12.23
    오감(Five Senses)  (1) 2024.12.22
    게임 이론(Game Theory)  (2) 2024.12.20
    도파민(Dopamine)  (3) 2024.12.19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