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감정 오염(Kick the Cat)과 감정 관리

평_온 2024. 12. 17. 16:52
반응형

 

최근 쿠팡플레이에 방영한 가족계획의 한 씬에서는 감정 오염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감정 오염이란 말 알아?  이, 무너진 자기 감정을 약한 사람한테 풀고 당한 사람은 또 자기보다 더 약한 사람한테 풀고 그렇게 나쁜 감정들이 전염병처럼 오염돼 가다가 결국 맨 밑바닥 가장 약한 존재인 길고양이까지 걷어차이는 거지.

 

 

그것은 일차원적으로 한 사람의 심정이나 기분이 다른 사람에게 전이되거나 영향을 끼치는 현상을 말한다. 인생을 살아가며 인간관계는 끊임없이 일어나는 것이기에 이러한 현상은 언제, 어디서든 일어난다.

 

특히 상하관계가 명확한 곳에서 이러한 현상은 쉽게 발생한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아래 사람에게 폭력적인 방법으로 해소하고 그 영향을 받은 사람은 또 다른 사람에게 그 감정을 오염시켜 결국엔 아무런 죄 없는 길거리에 고양이 마저 발로찬다는 것이다.

 

감정 오염은 의도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우선하여 상대에게 오염시키는 사람이 있는 반면, 본인도 의식하지 못한채 오염시키기도 한다. 본인이 평소 아무렇지않게 사용하는 단어가 타인에게는 심각한 상처를 주거나 본인의 의도한 것과 다르게 의견이 전달되어 감정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감염된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이 받은 그 감정을 해소하기 위해 자신보다 약한 상대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보이게 되고 결국은 길거리에 나약한 고양이마저 발로 차게 되는 것인데 이것은 결국 감정 오염의 숙주와 피숙주 모두 건강한 감정 관리가 되지 않기에 발생한다.


 

 

감정 관리는 자존감과 주변 환경이 중요하다. 자존감이 높다고 무조건 감정 오염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감정 관리가 잘된 사람에게는 일어날 확률이 매우 낮아진다. 특히 극한의 상황으로 가지 않는다면 그들에게는 감정 오염은 발생하지 않는다.

감정 관리 = 자존감 + 주변 환경

 

여기서 주변 환경은 그 사람이 자라며 받은 모든 환경을 말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가정 환경이 아닐까 한다. 가정 환경은 한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며 필요한 모든 감정, 행동을 배우는 첫 학교다. 

 

여기서 말하는 가정 환경은 부유한 환경에서 자랐느냐, 부족함없이 자랐느냐의 문제가 아니다. 얼마나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자랐으며 정서회복능력을 얼마나 키웠느냐가 중요하다. 

 

정서회복능력이 우수한 가정 환경에서 자란 사람은 타인의 부정적인 감정에 쉽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오히려 주위에서 '기가 쎄다'라는 표현을 듣는다. 여기서 '기가 쎄다'라는 표현은 부정적인 의미가 아닌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자신의 올바른 가치관을 타인의 비난에도 굴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결국 자신의 이른바 '뚝심'이 있기에 타인의 부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감정 관리 나아가 자기 관리가 되는 사람이다.

 

감정 관리가 잘 되는 사람들은 결국 자기 관리가 잘되는 사람이다. 자신의 감정, 타인이 주는 부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받지않기 위해 그들은 늘 노력한다. 누군가는 독서를, 누군가는 운동을 하는 등 자신만의 방법으로 감정보다는 이성으로 모든 상황을 판단하고자 한다. 

 

감정 오염에 쉽게 노출되는 사람은 감정을 해소하는 방법이 자신보다 약한 사람에게 푸는 것이 방법이 된 것이다. 자신보다 약한 사람에게 감정을 해소하며 얻는 것은 자존감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크나큰 착각이다. 자존감은 자신보다 약한 사람을 괴롭히며 오르는 것이 아니다. 타인의 자존감을 낮추는 것이기에 상대적으로 높아진다고 착각하는 것이고 본인의 자존감은 늘 그대로이기에 결코 자존감을 놓칠 수 없다. 다만 이러한 행동은 매우 자극적이기에 중독되기 쉽고 자신 또한 망가지기 쉬운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감정 상태를 객관적으로 보고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본인이 느끼고 있는 감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인정한 뒤 감정이 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냉철하게 생각해야한다. 분명 처음은 어려울 것이다. 다만 타인에게 피해를 주어 상대를 낮추어 본인이 높아보이는 것은 결코 높은 것이 아님을 명심하자.

 

 

 

 

 

 

 

 

 

반응형